전라북도 생생마을 만들기 개요
가. 생생마을의 정의
- 마을 공동체가 중심이 되어, 마을 고유의 체험, 관광, 전통, 문화, 경제 자원 등 고유한 이야깃거리를 활용하여 출향인, 관광객, 귀농인이 찾아 오는 활력과 생기가 넘치는 마을
나. 생생마을 만들기의 개념 : 도 마을만들기 정책, 추진체계, 관련사업을 총칭
- 사업적 범위 : 마을 공동체가 주도하는 자체 활동, 지원사업을 모두 포함
- 지역적 범위 : 농촌 단일 마을 중심에서 읍·면, 도시 마을로 점진적 확장
- 주체별 범위 : 시·군 자체 사업, 중앙부처 공모 사업까지 포함하여 관리
다. 비전 및 목표
- ※ “삼락농정”의 농촌 분야 핵심과제
- 생생마을 만들기를 통한 농촌 활력 창출로 “사람 찾는 농촌” 구현
- 생생마을 만들기 → 농촌 활력 → 사람 찾는 농촌 구현 → 삼락농정 실현
- 비전 : 삼락농정 사람찾는 활기찬 전북농촌 " 생생마을만들기를 통한 농촌활력 창출"
- 목표 : 혁신적 종합관리체계구축, 생생 마을 1천개 조성
- 기반(플랫폼)
- 농촌관광 통합 마케팅
- 실천과제
- 1. 농촌 관광거점 마을조성
- 농촌 관광 활성화
- 토탈 관광 연계추진
- 실천과제
- 마을상품 공동 마케팅
- 실천과제
- 마을 상품 공동 마켓팅
- 5. 각종 마을협의회 협력강화
- 6. 마을 연계 관광 상품 발굴
- 실천과제
- 정책통합 추진체계
- 실천과제
- 7. 관련 부서간 협력 강화
- 8. 시군중간지원조직 활성화
- 9 마을만들기 통합관리시스템
- 실천과제
- 민,관 거버넌스 활성화
- 농촌관광 통합 마케팅
- 단계
- 생생마을만들기 기초단계
- 마을발전계획수립, 역량강화
- 생생마을 만들기 활성화단계
- 각종 중, 대규모 공모 사업 지원
- 생생마을 만들기 사후관리단계
- 운영관리, 판로개척 지원
- 생생마을만들기 기초단계
생생마을 만들기 적용범위(주요사업)
가. 생생마을 만들기 기초단계 (소규모 공동체 활동, 소규모 공모사업 중심)
- 주민주도로 마을공동체를 조직,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주민 활동 유도
- 과소화 대응인력을 통한 과소화마을의 주민활동 지원 확대
- 기초 단계 마을 우수 마을은 향후 중·대규모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
- 시·군 자체 추진 중인 소규모 마을만들기 사업을 포함
- 500∼3,000만원 이내 소규모 공동체 지원사업
나. 활성화단계 (소, 중, 대규모 보조금 지원사업 중심)
- 마을공동체 활성화와 특성화를 위해 중·대규모의 사업 지원
- 도, 시·군 중간지원조직을 통해 통합 교육, 모니터링, 컨설팅 제공
- 마을공동체 기반으로 추진되는 일반농산어촌개발 마을만들기(자율, 종합), 농촌다움 복원사업,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을 활성화단계에 포함
다. 사후관리단계 (시설·장비지원, 운영활성화로 구분하여 추진)
- 보조사업 완료 후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컨설팅, 마케팅 활동 지원
- 2개 마을 이상 거점·권역 사업의 종료 후 운영활성화 지원체계 구축
단계별 관리 체계
- 기초단계
- 마을발전계획 수립 주민교육, 역량 강화
- 생생마을포럼 농촌현장포럼
- 시군역량강화
- 주민주도 소규모공동체활동
- 생생마을만들기 기초단계사업
- 시군자체 소규모사업
- 3천만원 이내의 소규모 공모사업
- 마을발전계획 수립 주민교육, 역량 강화
- 활성화단계
- 소구묘 공모사업(5억원 이내)
- 일반농산어촌개발 마을만들기(자율)
- 마을기업 에너지자립마을
- 중규모 공모사업(5~20억원 이내)
- 일반농산어촌개발 마을만들기(종합)
- 농촌다움 복원
- 대규모 공모사업(40억원 이상)
- 일반농산어촌개발 농촌중심지
- 중앙부처개별공모
- 소구묘 공모사업(5억원 이내)
- 사후관리
- 운영, 관리 활성화 지원
- 운영관리 컨설팅(마을, 권역)
- 추가시설 지원
- 후속사업 발굴 자립화 지원
- 공동판매장 입주지원
- 중앙부처 개별공모
- 각종 6차산업화 인증, 홍보 지원
- 운영, 관리 활성화 지원
라.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구축 및 운영
- 행정과 지역사회의 가교역할을 하는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의 구성 및 활성화로 마을만들기 협력센터, 전북대학교 농촌활성화지원센터 등 전북 도 단위 조직과의 사업 연결체계 구축
- 농촌활력사업, 생생마을 만들기 사업 등 추진 주요거점으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