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몽재
제10경훈몽재
- 순창군 쌍치면 둔전2길 83
- 063-652-0076
하서 김인후 선생이 명종 3년(1548년)에 순창 점암촌 백방산 자락에 지은 강학당이다. 최초 하서 선생이 훈몽재를 지은 곳은 대학암 위쪽이었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훈몽재는 선생의 5대손인 자연당 김시서에 의해 1680년경 원래의 터 인근에 '자연당'이라는 이름으로 복원되었다가 퇴락하였다. 이후 후손과 유림들에 의해 점암촌에 복원되었고, 더불어 하서 선생과 김시서, 송강 정철, 율곡이이를 모시는 어암서원이 부근에 건립되었으나, 고종 5년(1867년)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에 의해 철폐되었다. 결국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쇠락해 가던 훈몽재는 1951년 한국전쟁때 소실되었으나, 하서 선생의 학문적 업적과 정신을 되살리고 후세에 전승 · 발전시키며, 나아가 역사적 가치 재조명과 예절, 유학 등 전통문화 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순창군에서 현재의 위치에 2009. 11. 9 중건하였다.
시설 안내
- 훈몽재
- 훈몽재는 하서 김인후(1510-1560)선생이 명종 3년에 순창 점암촌(현재 위치) 백방산자락에 지은 강학당이다. 하서 선생은 주자의 이기이원론을 계승하는 견해로, 성경의 실천을 학문의 목표로 삼아 이를 조선왕조의 통치이념으로 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송강 정철, 월계 조희문 등 당대 유명한 학자들을 배출하였으며 순창이 호남 유학의 산실이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 자 연 당
- 하서 김인후 선생이 당초 건립했던 훈몽재는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소실 후 하서 선생 5대 손인 김시서(1652-1707)선생이 '자연당'이라는 이름으로 복원하였다. 하서 선생이 낙향하면서 자신의 자연귀의 사상을 '자연가'라는 시를 통해 표현하였는데 김시서 선생이 '자연당'을 지어 이를 구현했다고 할 수 있다.
- 양 정 관
- 매산 홍직필(1776-1852)의'훈몽재기'에 수록된 하서 선생의 교육이념인 '몽이양정(어리석은 사람을 바르게 기름)' 에서 따와 '양정관' 이라 하였다. '훈몽재복원사업'을 통해 신축한 교육관으로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한학, 한문, 예절교육등)과 학술회의 등이 개최되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 삼 연 정
- 하서 선생의 문학적 사상인 '삼연(三然)' 산(山), 수(水), 인(人)' 을 구현한 정자다. 하서 선생이 지은 1,600여 수의 시에 가장 많이 언급된 내용인 '삼연'에서 그 명칭을 따왔다. 하서 선생의 사위이자 제자인 고암 양자징의 48 영시 중 14번째 '원규투류(담장 밖에서 뚫고 가는 물이 흐름을 엿보다)'는 '삼연'이 잘 드러난 시이다.
- 대 학 암
- 둔전리 백방산 아래 추령천변에 위치하여 현재도 30여명이 앉을 수 있을 정도의 평평하고 넓은 바위이다. 하서 김인후선생의 문하생이었던 송강 정철(1536-1593)의 친필 '대학암'이 암각되어 있는데, 이곳에서 하서 선생이 정철을 비롯한 많은 제자들에게 [대학]을 강의했다고 한다. 송강 정철은 훈몽재에서 13세까지 공부하였다고 한다.
훈몽재 전경
자연당
양정관
삼연정
대학암
훈몽재 선비의길
훈몽재 교육프로그램
유학 전문 교육반
교육기간 | 교육인원 | 교육대상 | 교육내용 | 운영시기 |
---|---|---|---|---|
1개월 이상 |
10명 | 유학관련학과 대학생(휴학생) |
- 한학 : 맹자, 대학, 논어, 중용, 시경, 서경, 주역 - 인성교육 : 인사, 식사, 생활규범, 부모공경, 형제우애, 효 |
연중 (수시) |
방학 예절 교육반
교육기간 | 교육인원 | 교육대상 | 교육내용 | 운영시기 |
---|---|---|---|---|
1주 과정 | 30명 | 관내 초.중.고등 학생 및 대학생 |
- 유학교육 : 인의예지, 사자소학, 24절기 및 십간십이지 - 인성교육 : 인사,식사,생활규범, 부모공경,형제우애,효 |
- 여름방학 (7월~8월) - 겨울방학 (12월~1월) |
단기 체험 교육반
교육기간 | 교육인원 | 교육대상 | 교육내용 | 운영시기 |
---|---|---|---|---|
1일, 1박2일 |
30명 | 초.중.고등학생, 대학생, 직장인, 일반주민 (사회단체) |
- 한 학 : 소학,대학,논어,중용, 시전, 서전, 주역 - 인성교육 : 인사,식사,생활규범, 부모공경,형제우애,효 |
연 중 (수시) |
여성교육반
교육기간 | 교육인원 | 교육대상 | 교육내용 | 운영시기 |
---|---|---|---|---|
1일, 1박2일 |
10~40명 | 관내 여성 | - 애·경사시 갖추어야 할 기본자세, 제사상 차리는 방법 - 가정주부의 역할 및 도덕성 회복 |
연 중 (수시) |
요금안내
시설사용 요금안내
대상 | 구분 | 요금 | 비고 |
---|---|---|---|
개인별 | 5일까지 | 10,000원 | 교육비 포함 |
10일까지 | 20,000원 | ||
20일까지 | 40,000원 | ||
30일까지 | 50,000원 |
숙박시설 안내
구분 | 객실수 | 수용인원(실당) | 비고 |
---|---|---|---|
자연당 | 3실 | 15명 | 45명 |
양정관 | 6실 | 6명 | 36명 |
- 시설이용안내 : 063-652-0076
선비의 길
- 위치 : 순창군 쌍치면 둔전리 훈몽재 ~ 복흥면 상송리 낙덕정
- 연장 : 6.01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