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업

> 농업기술정보 > 친환경농업

페이스북 공유하기(새창열림) 트위터 공유하기(새창열림) 카카오톡 공유하기(새창열림) 인쇄(새창열림) 화면작게 화면크게

친환경농산물 소개

친환경농산물이란?

『친환경농산물』은 합성농약, 화학비료 및 항생ㆍ항균제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하고 농업ㆍ축산업ㆍ임업 부산물의 재활용 등을 통하여 농업생태계와 환경을 유지 보전하면서 생산된 농산물(축산물을 포함)을 말합니다.

친환경농산물의 종류

『친환경농산물』은 생산방법과 사용자재 등에 따라 유기농산물(유기축산물), 무농약농산물(무항생제축산물)로 분류합니다.
※ 저농약농산물은 2010년부터 신규인증은 중단되었습니다.

친환경농산물 종류 구분
  • 농산물
    • 『유기농산물』: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
    • 『무농약농산물』: 유기합성농약은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시비량의 1/3이내를 사용하여 재배한 농산물
  • 축산물
    • 『유기축산물』: 유기농산물의 재배 생산 기준에 맞게 생산된 유기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기준을 거쳐 생산한 축산물
    • 『무항생제축산물』: 항생제ㆍ합성항균제ㆍ호르몬제가 첨가되지 않은 일반 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인증신청 안내

인증절차

신청인이 구비서류를 갖추어 인증기관에 인증신청을 하면 인증기관에서 서류심사와 현장심사를 거쳐 인증기준에 적합한 경우에 인증서를 교부하고 인증관리를 실시합니다.

신청서류
인증기관
  •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에 필요한 인력과 시설을 갖춘 전문기관으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농관원)으로부터 인증기관으로 지정받아 친환경농산물인증 업무를수행합니다.
  • 인증기관 지정기준
  • 인증기관 지정현황
인증기준
인증수수료

친환경농산물 인증 표시도형의 종류

농림산물(유기농산물,무농약농산물),축산물(유기축산물,무항생제축산물),가공식품(유기가공식품)으로 구성 된 표입니다.
인증구분 정의 인증로고
유기농축산물 (유기농산물) 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일절 사용하지 않고 재배
(유기축산물) 유기농산물의 재배,생산 기준에 맞게 생산괸 [유기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 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유기농축산물 인증마크
무농약농산물 합성농약을 일절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1/3 이내 사용 무농약농산물 인증마크
무농약원료
가공식품
무농약농산물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거나 유기식품과 무농약농산물을 혼합하여 제조,가공,유통되는 식품 무농약원료가공식품 인증마크
유기가공식품 유기농축산물 원료로 하여 유기적 순수성이 유지되는 가공과정 등을 거쳐 생산된 식품 유기가공식품 인증마크
비식용유기가공품
(양축용,반려동물
유기사료)
유기식품, 유기가공식품과 허용된 단미사료, 보조사료를 원료로 하여 유기적 순수성이 유지되는 가공과정 등을 거쳐 생산된 사료 비식용유기가공품 인증마크
  • 표시도형은 해당농산물이 인증품임을 나타내는 표지로 인증품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인증마크 다운로드

친환경농산물 표시방법

친환경농산물 인증 표시 예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행정정보공개(친환경농업)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