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순창군 SUNCHANG

누리집

페이스북 공유하기(새창열림) 트위터 공유하기(새창열림) 카카오톡 공유하기(새창열림) 인쇄(새창열림) 화면작게 화면크게

한우·육우
성장단계별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단위:㎡)

성장단계별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시설 형태 번식우 비육우 송아지
방사식 10.0 7.0 2.5
계류식 5.0 5.0 2.5
비고
  • 1. 번식우: 번식에 활용되는 어미소(큰암소)
  • 2. 비육우: 고기소로 이용하기 위해 사육되는 소
  • 3. 방사식: 축사 내 우방에서 여러 마리를 자유롭게 풀어서 사육하는 방식
  • 4. 계류식: 한 마리씩 묶거나, 가두어 사육하는 방식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산정방법
  • (1) 육성우는 성우로 환산하여 계산함(성우 1마리 = 육성우 2마리)
  • (2) 송아지는 번식우와 함께 사육하지 않는 마릿수를 기준으로 함(젖을 떼지 않은 송아지는 마릿수에서 제외함)
  • (3) 성장단계는 다음 기준을 적용하여 구분함
성장단계
구분 송아지 육성우 성우
성장단계 6개월령 미만 6개월령 이상14개월령 미만 14개월령 이상
젖소
성장단계별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단위:㎡)

성장단계별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시설 형태 경 산 우 초임우
(12개월령 이상
24개월령 미만)
육성우
(6개월령 이상
12개월령 미만)
송아지
(3개월령 이상
6개월령 미만)
착유우 건유우우
깔짚 방식 16.5 13.5 10.8 6.4 4.3
계류식 8.4 8.4 8.4 6.4 4.3
프리스톨
(free stall)
방식
8.3 8.3 8.3 6.4 4.3
비고
  • 1. 경산우: 송아지를 1회 이상 분만한 경험이 있는 소
  • 2. 착유우: 분만 이후 우유를 생산하는 소
  • 3. 건유우: 임신 말기(분만 이전)에 일정기간 착유를 중단한 소
  • 4. 초임우: 처음 임신한 소
  • 5. 깔짚 방식: 한우·육우의 방사식과 같이 바닥에 깔짚을 깔고 풀어서 사육하는 방식
  • 6. 프리스톨 방식: 주로 착유우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사료와 물의 섭취 및 휴식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사육하는 방식
일관사육 시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단위:㎡)

일관사육 시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시설 형태 깔짚 방식 계류식 프리스톨 방식
마리당 평균면적 12.8 8.6 9.0
비고
  • 1. 계류식: 착유·건유 우사는 계류식, 나머지는 깔짚인 경우를 포함한다.
  • 2. 프리스톨 방식: 착유 우사는 프리스톨, 나머지는 깔짚인 경우를 포함한다.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산정방법
  • (1) 성장단계별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과 일관사육 시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의 기준 중 선택하여 적용함
  • (2) 송아지는 번식우와 함께 사육하지 않는 마릿수를 기준으로 함(젖을 떼지 않은 송아지는 마릿수에서 제외함)
돼지
성장단계별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단위:㎡)

성장단계별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구분 웅돈 번식돈 비육
임신돈 분만돈 종부대기돈 후보돈 새끼돼지
초기
새끼돼지
후기
육성돈 비육돈
마리당 면적 6.0 1.4 3.9 1.4(스톨)2.6(군사) 2.3(군사) 0.2 0.3 0.45 0.8
비고
  • 1. 웅돈: 성숙한 수퇘지(교배에 활용되는 수퇘지)
  • 2. 번식돈: 번식에 활용되는 어미돼지
  • 3. 임신돈: 임신한 돼지
  • 4. 분만돈: 돼지를 분만하여 젓을 먹이는 중인 암퇘지
  • 5. 종부대기돈: 임신, 분만 및 이유(離乳)를 거쳐 교배를 기다리는 암퇘지
  • 6. 후보돈: 어미돼지로 활용하기 위한 미성숙된 암퇘지
  • 7. 새끼돼지: 초기(젖먹이 돼지), 후기(젖뗀 돼지)
  • 8. 육성돈: 성장이 빠르게 일어나는 시기의 돼지(20킬로그램에서 60킬로그램)
  • 9. 비육돈: 육성돈 이후 고기생산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돼지
경영 형태별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단위:㎡)

경영 형태별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일관경영 번식경영-1 번식경영-2 비육경영-1 비육경영-2
0.79 2.42 0.90 0.62 0.73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산정방법
  • (1) 성장단계별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과 경영 형태별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의 기준 중 선택하여 적용함
  • (2) 새끼돼지는 번식돈과 함께 사육하지 않는 마릿수를 기준으로 함(젖을 떼지 않은 새끼돼지는 마릿수에서 제외함)
  • (3) 성장단계는 다음 기준을 적용하여 구분함
성장단계
구분 새끼돼지 육성돈 비육돈
초기 후기
성장단계 20킬로그램 미만 20킬로그램 이상 30킬로그램 미만 30킬로그램 이상 60킬로그램 미만 60킬로그램 이상
  • 경영 형태는 다음 기준을 적용하여 구분함
경영 형태
구분 경영 형태(유형)
일관경영 번식 → 분만 → 새끼돼지 → 비육
번식경영-1 번식 → 분만
번식경영-2 번식 → 분만 → 새끼돼지
비육경영-1 새끼돼지 → 비육
비육경영-2 비육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구분 시설 형태 면적 비 고
산란계 케이지(cage) 0.05㎡/마리  
평사 0.11㎡/마리  
산란 육성계 케이지 0.025㎡/마리 100일령까지 사육
육계 무창계사 39kg/㎡  
개방계사 강제환기 36kg/㎡  
자연환기 33kg/㎡  
케이지 0.046㎡/마리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산정방법
  • (1) 육성계와 병아리는 성계로 환산하여 계산함(성계 1마리 = 육성계 2마리 = 병아리 4마리)
  • (2) 토종닭은 육계 면적을 기준으로 함
  • (3) 성장단계는 다음 기준을 적용하여 구분함
성장단계
구분 병아리 육성계 성계
산란계·종계 3주령 미만 3주령 이상18주령 미만 18주령 이상
오리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구분 마리당 면적 비고
산란용 오리 0.333㎡/마리  
육용 오리 0.246㎡/마리 무창(無窓) 또는 고상식 시설은 0.15㎡/마리 적용
비고
  • 고상식 시설: 평상 형태로 바닥이 아닌 상층에서 사육하고 분은 아래로 떨어지게 만든 시설
마리당 가축사육시설 면적 산정방법
  • (1) 육성오리와 새끼오리는 성오리로 환산하여 계산함(성오리 1마리 = 육성오리 2마리 = 새끼오리 4마리)
  • (2) 성장단계는 다음 기준을 적용하여 구분함
성장단계
구분 새끼오리 육성오리 성오리
산란용 오리 3주령 미만 3주령 이상 18주령 미만 18주령 이상
육용 오리 3주령 미만 3주령 이상 6주령 미만 6주령 이상
  • 담당부서 : 농업기술센터 농업축산과 축산경영팀
  • 연락처 : 063-650-5644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방문자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