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생생마을 만들기 개요]
생생마을 정의와 범위
- (정 의) 마을 공동체가 중심이 되어, 마을 고유의 체험, 관광, 전통, 문화, 경제 등 마을자원을 활용하여 출향인, 관광객, 귀농귀촌인이 찾아오는 활력 있고 생기가 넘치는 마을
- (마을만들기) 도·사군 마을만들기 정책, 추진체계 등 관련 사업을 총칭
- 사업적 범위 : 도·시군 지원 사업, 중앙부처 사업을 포함하여 관리
- 지역적 범위 : 농촌 단일마을 중심에서 읍ㆍ면, 도시 마을로 점진적 확장
- 주체별 범위 : 마을공동체가 주도하는 활동, 지원사업을 모두 포함
목표와 추진방향
- 목표
- 도농융합 상생으로‘사람찾는 활기찬 전북농촌’구현 < 도농융합상생 시대 + 생생마을 지속성장 기반구축 >
- 추진방향
- ◈ 마을만들기 정책대상 확대 : 농민·농촌 + 도시민·도시
- ◈ HW 중심의 정책방향 변화 : HW → SW중심으로 활성화 추진
- ◈ 주민주도 정책추진 강화 : 보조사업 → 자율사업 확대
생생마을 만들기 적용범위(주요사업)
기초단계 -생생마을 만들기 기초단계(소규모 공동체활동)
- 주민주도로 마을공동체를 조직,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주민활동 유도
- 과소화 대응인력을 통한 과소화마을의 주민활동 지원확대
- 기초단계 마을 우수마을은 향후 중ㆍ대규모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
- 군 자체 추진중인 소규모 마을만들기 사업을 포함
- 500 ~3,000만원 이내 소규모 공동체 지원사업
활성화단계(소,중,대규모 보조금 지원사업 중심)
- 마을공동체 활성화와 특성화를 위해 중ㆍ대규모의 사업 지원
- (중앙공모)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농촌중심지활성화 사업 등), 신활력플러스 사업
- (도 공모) 에너지 자립마을, 테마가 있는 자연마을 사업, 생생마을 플러스사업
- (군 사업) 마을만들기 자율개발사업(5억원 이내)
- 도, 시군 중간지원조직을 통해 통합 교육, 모니터링, 컨설팅 제공
※ 기초단계를 거치지 않은 일반마을은 활성화 단계 마을지원 사업 불가
사후관리단계(시설ㆍ장비지원, 운영활성화로 구분하여 추진)
- 보조사업 완료 후 시설장비 개보수,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컨설팅, 운영활성화 지원체계 구축 및 마케팅 활동 지원 등
- 기초단계
- 소규모공동체사업
- ① (도) 생생마을 기초단계
- ② (시군) 자체사업
- ③ (도 결정) 타 부처 사업
- 소규모공동체사업
- 활성화단계
- 기초를 거친 우수마을 선정
- ① (도) 에너지마을, 테마가 있는 마을, 생생마을 플러스
- ② (공모)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신활력플러스사업
- ③ (시군) 마을만들기(자율개발)
- 마을여건에 맞는 사업 추진
- ① (중앙) 스마트빌리지, ICT타운, 인구감소지역
- ② (도) 마을기업, 6차기업, 문화예술, 마을공방 등
- 기초를 거친 우수마을 선정
- 사후관리단계
- 기존 시설 개보수 지원
- ① (도) 시설개보수, 장비구입
- ② (자체) 신규사업발굴, 경영진단, 컨설팅 등
- 기존 시설 개보수 지원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구축 및 운영
- 과소화, 고령화, 저출산 등으로 활동 인력이 부족한 시군 지역에 마을 사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행정과 주민간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거점 조직 구축
- (주요역할) 농촌현장포럼 추진, 시군역량강화사업, 농촌관광 활성화 지원, 각종 마을사업 추진, 공동체 활동지원, 마을상품 판매교육 지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