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순창군 SUNCHANG

누리집

페이스북 공유하기(새창열림) 트위터 공유하기(새창열림) 카카오톡 공유하기(새창열림) 인쇄(새창열림) 화면작게 화면크게

마을명유래

마을명유래
마을명 유래
순화리(淳化里)
  • 통일신라 때 살기좋고 인심이 좋은 곳이라 하여 순화리라 불림
남계리(南溪里)
  • 조선 고종때까지 하천지라 부르다가 1930년에 금산을 뒤에 두고 거울같은 맑은 시냇물이 남쪽으로 흘러가는 것을 보고 남계라 개칭
장덕리(長德里)
  • 맹씨가 맨처음 터를 잡았다 하여 맹가당이라 하였으며 병자호란 때에 한씨가 맹가터를 지나 닭모양과 같은 바위에 쉬고 있을때 날짐승이 날으면서 닭바위,닭바위,닭바위 하고 3번 우는 것을 보고 닭바위라고 부르게 됨
    이후 덕을 쌓아야만 많은 인물이 배출된다 하여 장덕마을이라 불림
복실리(福實里)
  • 칠원 제씨가 이곳에 처음으로 터를 잡아 정착하면서 복동이라고 하다가 복골이라 하였는데 45년에 해방되면서 복실이라고 함
백산(白山)
  • 정월 대보름날에 마을 뒷산에서 천용제를 지내고 제사상에 올린 돼지머리는 제를 지낸 후 나무밑에 묻는 풍속이 전해 내려옴
교성(校星)
  • 고려 때에는 오산이라고 하였으며 숙종 당시 군수 조태기가 향교를 완공하여 오늘에 이름
가남(佳南)
  • 가잠(佳岑) : 조선 세조때 신말주와 함께 낙향하여 남산에 살다가 대정으로 이사와서 살았던 선비의 개가 집을 나가 돌아오지 않아 찾아보니 현 가잠마을에서 새끼를 낳았다는 전설이 있는 곳이다.
    이때 노승이 이곳을 지나다가 개가 잠자는 형국의 명당이라 하여 개잠이라 불렀으며 조선 고종때 가잠이라 하였다.
  • 남산(南山) : 오산의 남쪽에 있는 산이라 하여 남산이라 함
신남(新南)
  • 대정(大亭) : 해방 전까지 이곳에는 일하다 놀 수 있는 30평정도의 큰 정자가 있었기 때문에 대정이라 하였다.
  • 무수(舞袖) : 남산마을의 고령 신씨가 산수좋은 이곳에 선산을 정하고 묘를 만들어 3년상을 치르는데 스님이 하늘에서 춤을 추고 내려왔다 하여 무수라고 불렀다고 전해짐
  • 탄금(彈琴) : 선녀가 춤을 추고 내려올때 이곳에서 가야금으로 장단을 맞춘 곳이라 하여 탄금이라 칭함
  • 성자(聖慈) : 57년 나환자들이 이사하면서부터 마을을 이루었고 기독교 봉사회에서 신남교회를 설립하면서 성자마을이라고 부르게 됨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행정정보공개(지명유래)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 연락처 :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방문자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