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순창군 SUNCHANG

누리집

페이스북 공유하기(새창열림) 트위터 공유하기(새창열림) 카카오톡 공유하기(새창열림) 인쇄(새창열림) 화면작게 화면크게

마을명 유래

마을명 유래
마을명 유래
창신 (昌申)
  • 조선말 고종 때 역촌으로 사또가 전남 옥과에서 출발하여 이곳으로 경유할 때에 쉬어가는 곳이기 하였다. 창신(昌新)을 193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창신(昌申)으로 바뀌었다. 순창읍에서 동쪽 1 km 거리에 있고 옛날에 역졸이 있었기 때문에 역몰이라고 하였다.
정동 (鼎洞)
  • 마을 지명을 새터라 하였고 마을 뒷산의 모습이 솥모양으로 생겼다 하여 솥()자 정동이라 부르고 있다
건곡 (乾谷)
  • 웃건실 또는 건곡이라는 마을 이름이 붙여진 것은 건지산(乾芝山) 골짜기에 자리하고 있다하여 마를 건()자, 골 곡()자를 붙여 건곡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마을 형국은 선형을 하고 있다.
학촌 (鶴村)
  • 마을은 아래 건실 또는 건곡이라 불렀으며 학촌이라는 이름은 풍수설에 뒷산에 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라 하여 학촌이라 부르게 되었다.
금판 (金板)
  • 마을 앞 산에 금이 나와 금굴이라 부르다가 조선시대에 와서 풍수설에 의해 금판리라 부르고 있는데 일부에서는 쇠판리라 부르고 있다.
외이 (外伊)
  • 대구 배씨의 13대조와 평택 임씨의 12대조가 처음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어 내이 마을과 합하여 법정리를 이루어 마을이 밖에 있어 바깥 이동이라 부르다가 조선말기부터 외이리라 개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마을이 주형(舟形)이기 때문에 마을 안에 우물을 파서는 안된다고 하여 공동 우물을 마을 주변에 5개를 파서 나무를 1주씩 심어 해마다 5샘 5당산제를 정월 대보름에 지내는 풍습이 있었다.
내이 (內伊)
  • 고령 신씨의 12대조가 처음 터를 잡고 마을을 이루었다. 외이리에 속했으나 행정구역 개편으로 마을이 안 쪽에 있어 안이동이라 부르다가 1972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내이리라 개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오교 (梧橋)
  • 옛날에는 머덜이라 불렀으며 마을 중심으로 흐르는 시냇물에 오동나무 교량이 있어 오교리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유촌 (柳村)
  • 버드나무가 많은 곳이라 하여 버들이라 하였으며 유촌, 유천, 책암이 한 마을을 이루었으나 행정구역 개편으로 분리되었다.
유천 (柳川)
  • 행정구역 개편으로 버들에서 분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책암 (冊巖)
  • 평강 채씨가 마을을 이루었으며 마을 뒷산에 선인독서(仙人讀書)라는 명당이 있어 그 곳에서 선비들이 풍류를 즐겼다 하여 앞 산에 책인 것과 같은 큰 바위가 있어 책바위라 부르다가 책암이라 불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마을의 일부는 남원시 대강면에 속해 있다가 1987년 대통령령으로 순창군으로 편입되었다.
무수 (無愁)
  • 옛 부터 무시내라 부르다가 무수리로 부르게 된 것은 마을의 위치가 외세의 침입을 받지 않는 여건으로 언제나 안정되고 평화로워 아무런 근심이 없는 마을이라 해서 무수리라 부르게 되었다. 주민들의 협동 단결은 1980년 176 m 섬진강에 유적교를 건설하여 교통 불편을 스스로 해결, 단결력을 과시했다.
화탄 (花灘)
  • 조선 정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간을 지낸 최경옥 (본관은 전주)이 태어난 마을이다. 마을은 원래 상촌, 중촌, 하촌의 3개 마을이 합하여 형성된 마을을 이루어 중촌은 꽃의 마음, 꽃심 또는 꽃여울이라 불러오다가 화탄으로 개칭하여 부르게 되었다.
월탄 (月灘)
  • 화탄마을에 속했다가 1979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월탄이라 부르게 되었다.
  • 담당부서 :
  • 연락처 :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방문자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