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순창군 SUNCHANG

누리집

페이스북 공유하기(새창열림) 트위터 공유하기(새창열림) 카카오톡 공유하기(새창열림) 인쇄(새창열림) 화면작게 화면크게

마을명 유래

마을명 유래
마을명 유래
지북(支北)
  • 봉우리 형상이 갓과 같고 마을을 휘감고 돌아가는 산의 형상이 옥대와 같은 형상이란 뜻에서 갓대라 하여 관대(冠帶)촌이라 하였으나 어느 도인이 마을을 보고 안산은 노호(老虎)로 백호형상이며 마을은 백호와 상대성 지명으로 큰 돼지가 드러누워 있는 형상이라고 하여 그 형상을 지북(支北)이라 표기. 지북, 태자의 자연마을이 있음.
대산(大山)
  • 원래 죽산이라고 했던 것을 조선말에 와서 풍수객들에 의해 대산이라는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마을 뒷산이 대호하산(大虎下山)형상으로 마을 이름을 대호라고 하면 너무 위압적이기에 대산이라고 칭함. 대산, 묘동의 자연마을이 있음.
운림(雲林)
  • 임동(林洞), 율지(栗枝)의 자연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임동은 나무가 무성한 마을이라 하여 임동이라 하였다는 설과 어느 기록에는 중고봉 아래에서 어진 사람이 많이 나서 인동(仁洞)이라고 하였던 것이 임동이 된 것이라고도 하며. 율지는 원래 방갓이라 불렸는데 방립(方笠)의 순수한 우리말이 방갓으로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봉우리가 밤이 아니고 여러개의 방립형상에서 방갓이라 함.
고원(古阮)
  • 관평(官坪), 원촌(院村), 지내(池內), 모산(茅山)의 자연마을이 있으며 지내는 조선조 말기에 정씨가 취락을 형성하면서 저수지가 있었기에 그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지내라 하였다고 하나 그 이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고 아랫모사니라고도 함.
내월(內月)
  • 우계(愚溪),시목(枾木), 내적(內赤), 농소(農所)의 자연마을이 있으며 시목은 전하는 말에 의하면 감나무가 많이 서 있는 곳에 집을 지으면 부자가 된다고 하는 어느 풍수사의 말에 따라 집을 지어 부자가 되자 이곳에 마을이 형성되어 감나무골이라 불려왔으며, 농소는 용수막으로 불렸는데 쌍룡등공(雙龍登空)형상으로 용구름이 하늘로 올라가 비를 뿌리는 모양인 용수막(龍需寞)이라 하였던 것으로 이곳에 고려초에 쌍룡사(雙龍寺)가 있었음.
평남(平南)
  • 평남(平南), 구남(龜南)의 자연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평남은 적성강과 동계천변에 있기에 옛사람들은 삶의 지혜로 방풍(防風)도 하고 습기를 막기 위하여 강변에 회나무를 많이 심어 회나무 마을이라 하여 회쟁이라 하였다가 큰 마을을 나누면서 평남이라 하였고, 구남은 적성강과 동계천의 합수지점에 마을이 형성된 것으로 금거북이가 남수로 내려온다는 말로 금구남수(金龜湳水)형상이란 말임.
괴정(槐亭)
  • 괴정(槐亭), 서림(西林),마계(馬溪),신월(新月)의 자연마을이 있으며 괴정은 마을앞에 수령(樹令)이 약 5백여년으로 추정되는 느티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로 인해 마을 이름이 붙여진 것이며, 신월은 1977년 취락구조 개선마을로 처음 조성된 마을로 이 마을의 지형상의 반월같이 생기었으며 동쪽에 뜬 반월형상을 동반월(東半月)이라 하여 동반월 초생달과 같다하여 신월이라 명명함.
석산(石山)
  • 두류봉을 등지고 골짜기에 입석(立石), 강경(江景), 도왕(都旺)의 자연마을이 있으며 입석은 원래 선돌이라 하여 옛날 부족국가 시설에 부족간의 경계로 돌을 세웠고 그러기에 선돌이라 하였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입석이라 하였고, 강경은 마을 앞으로 적성강이 횡단으로 흐르고 전후좌우로는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오지마을로 적성강을 바라보는 광경이나 주위의 경관이 아름답기에 옛사람들이 강경이라 칭함.
  • 담당부서 :
  • 연락처 :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방문자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