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순창군 SUNCHANG

누리집

페이스북 공유하기(새창열림) 트위터 공유하기(새창열림) 카카오톡 공유하기(새창열림) 인쇄(새창열림) 화면작게 화면크게

여성복지제도

저소득 한부모 가족 지원
선정기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세대주(세대주가 아니더라도 세대원을 사실상 부양하는 자를 포함)인 母 또는 父와 그에 의하여 양육되는 18세미만 (다만, 취학시에는 22세미만)의 자녀로 이루어진 가정으로서 매년 여성가족부장관이 소득수준을 고려하여 정하는 선정기준을 충족한 자

  • 배우자와 사별 또는 이혼(이혼소송 중인 자는 제외) 하거나 배우자로부터 유기된 자
  • 정신 또는 신체장애로 인하여 6개월 이상 장기간 근로능력을 상실한 배우자를 가진 자
  • 미혼모, 미혼부(사실혼 관계에 있는 자는 제외)
  • 배우자의 생사가 분명하지 않은 자
  • 가정폭력등에 의한 배우자 또는 배우자 가족과의 불화등으로 인하여 가출한 자
  • 배우자의 배우자의 군복무 또는 장기복역으로 부양을 받을 수 없는 자
  • 부모로부터 사실상 부양을 받지 못하는 아동을 양육하는 조부 또는 조모(저소득 조손가족)
지원근거
  • 한부모가족지원법 제5조 및 동법시행규칙 제3조
가구원수별 선정기준 (2023년도 선정기준)
가구원수별 선정기준
가구규모 2인기준 3인기준 4인기준 5인기준 6인기준
원 / 월 2,073,693원 2,660,890원 3,240,578원 3,798,413원 3,591,642원
한부모가족 지원 항목 및 기준
한부모가족 보호비 지원 항목 및 기준
구 분 지원대상 및 선정기준 지급내역 지급시기
고교생자녀학비 재가 저소득 한부모가정 고등학생 자녀
※ 기초생활보장법상의 교육급여자를 제외
학비전액(수업료, 입학금) 매분기(3,6,9,12월)
25일이내
아동 양육비 재가 저소득 한부모가정 자녀중 18세미만의 아동 1인당/월200천원 매월 20일 지급
저소득 조손가족 및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가족의 5세 이하 아동 1인당/월50천원
25세이상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5세 이하 아동 1인당/월100천원
2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6세 이상 18세 미만 아동 1인당/월50천원
월동비 재가 저소득 한부모가정
※ 기초생활보장법상의 생계급여자를 제외
200천원/년, 세대 연1회 지급(10월)
피복비 재가 저소득 한부모가정
※ 기초생활보장법상의 생계급여자를 제외
100천원/년, 세대 연1회 지급(4월)
대학생
입학금
재가 저소득 한부모가정 자녀중
대학입학일 기준
저소득 학부모 가족자녀
및 청소년한부모 본인
(한부모신청일 기준)
※ 국가장학금 외 기타지원금은 중복 지급 제한
(순창군대학진학축하금 등)
1인당/1,000천원 연1회지급
부교재비 지원
(초,중,고)
재가 저소득 한부모가정 초중고생 및 검정고시 준비 자녀
※ 기초생활보장법상의 생계급여자를 제외
1인당/년 70천원 연1회지급(4월)
아동교육지원비
(중,고)
재가 저소득 한부모가정 중고생 자녀
※ 기초생활보장법상의 교육급여 대상자를 제외
1인당/연 93천원 연1회(7월) 지급
수학여행비(중·고) 재가 저소득 한부모가정 자녀
지원단가 : 300천원 이내/인,년
지원방법 : 학교로 참가여부 및 고지금액 확인 후 학교 or
개인 계좌로 지급
※수학여행 시행 이후
저소득한부모대상자로 신청․결정된 자에 대해서는 미지급
1인당/300천원이내 수학여행 후 지급
교통비
(중, 고)
재가 저소득 한부모가정 중고생 자녀
※ 기초생활보장법상의 생계급여자를 제외
1인당/연240천원 연1회 지급(4월)

양성평등기금 운영

목적
  • 양성평등 기금사업을 통한 여성능력 개발 및 사회참여 기회확대로 건전한 지역사회 분위기조성
  • 지역사회 공익활동 지원을 위한 여성단체 활동능력 배양 및 양성평등 정책기반 조성
지원근거
  • 양성평등 기본법 제42조, 순창군 양성평등 기본조례 제33조
  • 기금 조성액 : 2023년 2월 현재 524,868천원(군 출연금, 이자수입)
사업개요
  • 사업기간 : 사업공모 및 선정이후~ 12월
  • 신청대상 : 남녀평등 촉진,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및 복지증진 등 여성발전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는 순창군에 소재한 법인·단체
  • 지원규모 : 적립금 이자수입
  • 지원방법 : 공모를 통한 신청접수 후 양성평등위원회 심사 후 지원
지원대상
  • 양성평등 실현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
  •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와 인권 보호 및 권익증진을 위한 사업
  • 그 밖에 군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지원제외 사업
  • 타 기관 및 군에서 보조금을 지원하는 사업
  • 사업 수혜대상이 단체회원 중심인 단체 내 일회성행사
  •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

여성긴급전화 1366 운영

목적
  •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등으로 긴급 신고. 보호를 필요로 하는 여성들의 지원을 통한 피해자 인권보호
근거법령
  •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조, 제7조의 2
전북여성 긴급전화 1366의 현황
  • 전북1366센터 : 063-1366
  • 전북전주센터 : 1577-1366, 063-237-1366 (결혼이주여성)
운영체계
  • 24시간 Hot-Line운영 : 365일 24시간 상담 및 긴급보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8시간 3교대 근무체제로 전담직원(야간 2명 이상 배치 근무)
  • 긴급보호조치 : 긴급상황에 처한 피해자를 근거리 상담소, 보호시설, 112, 119등에서 즉시 조치
  •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 유관기관과 전용선 설치 유관기관과 협조체제 유지

성범죄자 알림ehttp://www.sexoffender.go.kr

아이돌봄 지원사업

아이돌봄 지원사업이란?
  • 60시간의 양성교육을 이수한 아이돌보미가 가정에서 만 3개월 이상 12세 미만의 아동에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지원사업으로 유형별로 이용요금 및 이용시간 차등 지원
정부지원 대상자
  • 취업한부모(모자, 부자, 조손, 미혼모 포함)
  • 장애부모 가정
  • 맞벌이가정
  • 다자녀가정
  • 기타 양육부담가정(질병, 학교재학 중, 취업준비 중)
  • ※ 전업주부는 정부 미지원
유형별 정부지원 내용
유형별 정부지원 내용
유 형 소득기준(월평균소득) 시간제
(시간당 11,080원, 연840시간이내 정부지원)
영아종일제
(시간당11,080원,
월 200시간이내 정부지원)
정부지원
(A형)
본인부담
(A형)
정부지원
(B형)
본인부담
(B형)
정부지원 본인부담
가형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 9,972원 1,108원 8,864원 2,216원 9,418원 1,662원
나형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6,648원 4,432원 2,216원 8,864원 6,648원 4,432원
다형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1,162원 9,418원 1,662원 9,418원 1,662원 9,418원
라형 기준 중위소득 150% 초과 - 11,080원 - 11,080원 - 11,080원
  • (A형) 2016.01.01. 이후 출생 아동, (B형) 2015.12.31. 이전 출생 아동
  • 시간제 : 3개월이상 ~ 만12세 이하 아동(1회 2시간 이상 사용 원칙)
  • 영아종일제 : 만3개월 이상 ~ 만36개월 이하(1회 3시간 이상 사용 원칙)
  • 심야(22:00~06:00) 및 공휴일 시간대 이용시 서비스 종류별 기본금액의 50%를 증가
  • 정부지원 시간을 초과하는 아동은 전액 본인부담(라형)으로 책정하여 서비스 이용 가능
신청절차
  • ① 서비스 이용희망자 읍․면 사무소 방문
    • 신청서 및 정부 지원 자격 여부 입증 서류 제출(처리기한 : 신청 후 14일 이내)
  • ② 소득 조사
    • 소득기준에 따른 이용희망자 유형 판정
  • ③ 지원대상자 확정 여부 및 해당 유형 통보(개별 통보)
  • ④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제공기관 : 순창군 가족센터(☎063-652-4438)
문 의 처 : 순창군청 주민복지과 여성가족친화팀(☎063-650-1261)

도내여성복지시설 및 기타

여성긴급전화 1366
목적
  •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등으로 긴급 신고. 보호를 필요로 하는 여성들이 전화를 통해 안내, 상담을 받을수 있도록 함
여성긴급전화 1366 전북센터현황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67-5
  • 연락처 : 국번없이 1366, fax : 224-1366
  • 법인명 : (사회복지법인)전주가톨릭사회복지회
운영체계
  • 24시간 Hot-Line운영 : 365일 24시간 상담 및 긴급보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8시간 3교대 근무 체제로 전담직원(야간 2명 이상 배치 근무)
  • 긴급보호조치 : 긴급상황에 처한 피해자를 근거리 상담소, 보호시설, 112, 119등에서 즉시 조치
  •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 유관기관과 전용선 설치 유관기관과 협조체제 유지
전북 해바라기 센터
목 적
  • 학교·여성폭력(성폭력·가정폭력·성매매) 피해자에게 상담·수사·의료·법률 서비스를 통합하여 24시간 원스톱 서비스를 지원
해바라기센터 현황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건지로 20 (전북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 지하 1층)
  • 연락처 : 063-278-0117 FAX : 063-273-2117
  • 법인명 : 전북대학교병원(06.2.1)
  • 운영체계
    • 3자 공동협약 체결 및 운영
      *위탁자(전북특별자치도지사, 전북지방경찰청) => 수탁자(전북대학교병원장)
      *여성가족부·전북특별자치도 : 예산확보, 피해자 의료비, 법률구조비 지원
      *경찰청 : 수사지원 파견근무(여경 5인, 24시간 교대근무)
      *센터병원 : 시설공간(20평이상) 및 의료인력지원
    • 운영인력 : 15명(부소장 1, 상담전문가 4, 경찰 5, 행정요원 1, 간호사 4)
가정폭력 지원시설
목적
  •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가정폭력의 피해자를 보호함으로써 건전한 가정유지 및 해체를 방지하고자 함
근거법령
  • 가정폭력 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설현황
  •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 4개소(전주1, 군산1, 익산1, 남원1)
  • 가정폭력상담소 : 12개소(전주4, 군산2, 익산3, 정읍1, 남원2)
시군별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 및 상담소 현황
가정폭력상담소
시설명 소재지 전화번호 운영주체
전주가정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노송광장로 7 전주빌딩 6층 244-0227 법)한국가정법률상담소
전주여성의전화부설가정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338 287-7324 사)한국여성의전화 전주지부
새벽이슬 가정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백제대로 167 223-3014 사)행복나눔지원센터
호남가정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송천2길 7 285-1366 개인
한국가정법률상담소군산지부부설
가정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대학로 36-1 442-1560 법)한국가정법률상담소
군산여성의전화부설가정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구영7길 8 445-2285 사)한국여성의 전화
군산지부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익산지부부설
가정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인북로 168, 2층 851-5113 법)한국가정법률상담소
익산여성의전화부설가정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익산대로 172-1 858-9191 사)한국여성의 전화
익산지부
익산반석가정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인북로48길 19 858-0909 개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정읍지부부설가정폭력사무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348 535-8223 법)한국가정법률상담소
남원 YWCA부설가정폭력·성폭력통합상담소 전북 남원시 시청로 65 2층 625-1318 사)남원 YWCA
남원가정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요천로 1415 635-0712 개 인
상담소기능
  • 가정폭력을 신고받거나 이에 관한 상담에 응하는 일
  • 가정폭력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가정생활 및 사회생활이 어렵거나 기타 긴급히 보호를 필요로 하는 피해자에 대한 임시보호
  • 의료기관 또는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로의 인도
  • 행위자에 대한 고발 등 법률적 사항에 관한 자문을 얻기 위한 대한변호사협회나 지방변호사회 또는 대한법률구조공단등에 필요한 협조와 지원의 요청
  • 경찰관서 등으로부터 인도받은 피해자의 임시보호
  • 가정폭력의 예방 및 방지에 관한 홍보
  • 기타 가정폭력 및 피해에 관한 조사 연구
성폭력상담소
목적
  • 성폭력을 예방하고 성폭력의 피해자를 보호함으로써 인권신장 및 건강한 사회를 육성하기 위함.
근거법령
  •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 보호등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
시설현황
  • 성폭력피해자 보호시설 : 2개소(전주1, 군산1)
  • 성폭력상담소 : 10개소(전주4, 군산1, 익산1, 정읍2, 남원1, 김제1)
성폭력 상담소
성폭력상담소
시설명 소재지 전화번호 운영주체
성폭력예방치료센타부설성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인정2길 12-4,
전북노회회관 3층
236-1366 사)성폭력예방치료센터
새벽이슬장애인성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백제대로 167,
명진빌딩 2층
223-3015 사)행복나눔지원센터
호남성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송천2길 7 286-1366 개 인
전주다솜성폭력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백마산길 67-2. 223-5683 개 인
군산성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구영7길 8 445-1366 개 인
익산일반·장애인성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인북로 187,
익산상공회의소 5층
834-1366 개 인
성폭력예방치료센타정읍지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73,대율빌딩 5층 531-1366 사)성폭력예방치료센터
정읍시민성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33 536-1369 개 인
남원성폭력상담소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요천로 1415 635-0711 개 인
성폭력예방치료센타 김제지부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성로 53-1 546-8366 사)성폭력예방치료센터
상담소기능
  • 성폭력 피해를 신고받거나 이에 관한 상담에 응하는 일
  • 성폭력 피해로 인하여 정상적인 가정생활 및 사회생활이 어렵거나 기타 긴급히 보호를 필요로 하는 피해자에 대한 임시 보호
  • 의료기관 또는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로의 인도
  • 가해자에 대한 고소와 피해배상청구 등 사법처리절차에 관하여 대한변호사협회, 대한법률구조공단 등에 필요한 협조와 지원의 요청
  • 성폭력범죄의 예방 및 방지를 위한 홍보
  • 기타 성폭력범죄 및 성폭력피해에 관하여 조사 연구
  • 성폭력 피해자 치료·회복 프로그램 운영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행정정보공개(여성복지제도 안내)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주민복지과 여성가족친화팀
  • 연락처 : 063-650-1277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방문자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