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이란
- 결핵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에 의한 만성 감염병으로 주로 폐에 감염을 일으켜 ‘폐결핵’이 결핵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신장, 신경, 뼈 등 우리 몸 속 거의 대부분의 조직이나 장기에서 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감염경로
- 주로 활동성결핵 환자로부터 나온 결핵균이 포함된 미세한 침방울에 의해 감염되지만, 감염되었다고 하여 모두 활동성결핵으로 발병하는 것은 아니며 체내의 면역계에 의해 결핵균이 억제되고 있는 상태를 ‘잠복결핵감염’이라고 합니다.
증상
- 호흡기 증상 : 2주 이상 지속되는 기침, 가래, 객혈, 호흡곤란
- 전신증상 : 발열, 발한, 무력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진단 및 치료
- 결핵의 진단: 흉부 X선 검사 후 결핵이 의심되면 결핵균 검사(도말검사, 배양검사, 약제감수성, 핵산증폭검사) 실시
- 결핵의 치료: 표준치료기간은 6개월
- 후기 유지치료기: 4개월간 3제(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복용
- 다제내성 결핵: 결핵 치료의 근간이 되는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약제인 이소니아지드(INH)와 리팜핀(RIF)에 동시에 내성이 있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결핵, 최소 18개월간 치료 필요
- 생후 4주 이내 BCG 접종하기
- 2주 이상 호흡기 증상, 전신증상이 있는 경우 결핵검진 하기
- 65세 이상은 1년에 한 번씩 결핵검진 하기
- 결핵환자의 가족은 정기적으로 결핵검진 하기
- 내원자 무료 결핵검진 : 2주이상 기침, 가래 등 유증상자(상시)/65세 이상(1년 1회)
- 찾아가는 결핵 이동검진 사업(경로당, 주간보호센터 등)
- 가족접촉자검진 및 검진비 지원
- 입원명령(다제내성, 비순응 등)환자 입원비 지원 등
- 관내 집단시설 결핵환자 발생 시 역학조사 시행
- 결핵 예방 홍보 및 교육 사업 추진
- 결핵 및 잠복결핵 검진, 치료 관리
- 결핵환자 맞춤형 복약관리
- 순창군 보건의료원 보건사업과 감염병대응팀 ☎063-650-5270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